Jesse Chun's moving images, concrete poems, scores, and activations intimately unravel the dominant compositions of language and legibility -- invoking alternate semiotics and cosmologies of meaning, time, and infinitude.
Chun's first solo survey exhibition 시, language for new moons was presented as part of the 12th Seoul Mediacity Biennale in 2023. Chun's work has been presented internationally at Commonwealth and Council, Los Angeles (US); Art Sonje Center, Seoul; Thaddaeus Ropac, Seoul; Nam June Paik Art Center (KR); SculptureCenter, New York; the Drawing Center, New York (US);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ronto (Canada); Whitechapel Gallery, London (UK), among others.
Her work is in the collections of Seoul Museum of Art (KR); Kadist Art Foundation (FR/US); Museum of Modern Art Library (NY), and more. Chun was awarded the Joan Mitchell Foundation Painters & Sculptors Grant (US, 2020), and was an artist in residence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MMCA) Korea (2024-25). Chun works between California (US) and Seoul (KR), and is represented by Commonwealth and Council (Los Angeles).
제시 천은 미국과 한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시각 예술가이다. 그의 무빙 이미지, 구체시 (콩크리트 포엠), 추상 스코어, 설치 및 퍼포먼스 작업들은 의미, 시간, 무한성에 대해 말한다. 그의 작업은 지배적인 언어의 구조와 읽힘에 대한 체계를 파열하고 추상화하여, 비선형적인 의미와 시간성을 순환해 무한한 기호학적 우주로 펼친다. 이를 통해 세상에서 의미가 만들어지는 물리적, 영적 경계들을 초월하는 시적 언어와 순간을 그린다.
제시 천의 첫 솔로 서베이 전시, 시, language for new moons 은 제 12회 서울 미디어시티 비엔날레(2023) 에서 개최되었다. 다른 주요 솔로 및 그룹전들은 커먼웰스 앤 카운슬 (로스앤젤레스); 아트선재센터 (서울); 타데우스 로팍 (서울); 백남준아트센터 (용인);스컵처센터 (뉴욕); 드로잉센터 (뉴욕); 토론토 현대미술관 (캐나다); 화이트채플갤러리 (런던) 등 에서 선보였다.
주요 소장 컬렉션은 서울시립미술관; 카디스트 (미국, 프랑스), 뉴욕현대미술관 라이브러리, 스미소니안 뮤지엄 아카이브 오브 어메리칸 아트 등이다. 제시 천은 2020년 미국 조안 미첼 회화조각상을 수상하였고, 2024년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입주작가였다. 현재 서울과 캘리포니아에서 작업하고 있다.